티스토리 뷰

대서 뜻과 24절기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대서를 알기전에

24절기부터 간단히 소개를 해드리겠습니다.

24절기는 먼 옛날 중국에서 먼저 생기게 되었습니다.

태양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해를 24절기로 나누게 되죠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으로 시작하여 겨울 큰 추위가 오는

대한으로 끝이나게 됩니다.

우리가 알아볼 대서는 바로 24절기중

더위의 시작을 알리는 소서와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추 사이에 오게 됩니다.

대서는 한 해중 더위가 가장 심한날이라고 볼수있죠





보통 한 해의 

7월 22일과 7월 23일의 오게됩니다.

올해 2016년에는 7월 22일이 대서가 됩니다.

대서 뜻을 알기전 24절기를 아시면 더욱 도움이 됩니다.




전체적인 24절기를 참고하여 주시면

도움이 될것입니다. 


이제 대서 뜻을

알아보도록 하죠


 클 대, 큰 대,크다 심하다의 뜻이며
暑 더울서덥다, 더위를 뜻합니다.
한마디로 더위가 가장심하다는 의미이죠
우리나라의 경우 중복으로 보통 장마가 끝이 나고 더위가 가장 심할때입니다.작년 2015년의 경우 2015년 7월 23일로 중복과 대서가 한날이 였죠하지만 올해는 대서가 7월 22일이며 중복은 7월 27일날 오게 됩니다.





먼 옛날부터 대서는 더위 때문에 염소뿔도 녹는다라는 속담을가주고 있습니다. 그 만큼 덥다는 의미이죠보통 대서가 오면 더위를 피해 음식을 마련하여 계곡이나 산에 있는 정자를 찾아가 더위를 달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해마다 달리 장마전선이랑 겹치는 경우도 있는대 큰 비가 내리기도 하였습니다.올해 바로 장마전선이랑 겹치는 해 입니다.극심한 더위도 이때쯤 겪게되는대 대서라는 명칭으로 부르게 된이유는무더위에 대한 경각심을 알려주기 위함이였다고 합니다.또한 참외, 수박, 다양한 채소등이 풍성하게 많이 나오고과일이 가장 맛있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대서 뜻을 알아보았으니

7월 22일 날씨도 보았는대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비가 온다고 합니다.

전국적으로 기온은 23~26도 정도 된다고 하니

장마전선이랑 겹치는 것을 보면 옛 조상들

참 지혜롭지 않나요?


지금까지 

대서 뜻과 절기를 

알아보았습니다.

<참고자료 두산백과, 한국민속대백과사전>